sio4, SiO4 tetrahedron, 나의 브랜드.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우리가 밟고 있는 이 땅, 지각을 이루는 수많은 물질들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산소(O)와 규소(Si)입니다.* 이 흔해빠진, 발에 치이는 O 네개가 Si 한개와 만나 쬐그만 Si를 중심에 두고 사면체 모양으로 뭉친 것이 바로, Silicate Tetrahedron, 규산염 광물의 기본 틀인 SiO4 입니다. 저의 오랜 본질(Identity)이죠.

내겐 나름... 내 뿌리인 지질학의 느낌을 담으면서 동시에 흔해 빠졌지만 본질이 되는, 골격이 되는, 뭐랄까 "풀뿌리" 스러운 의미를 동시에 담은 그런 의미있는 이름입니다. 그런데 오늘 퇴근길 통근버스 속에서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 내 브랜드가 그랬었구나..."

인터넷 세상에서 실제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는 나에게 sio4라는 ID는 말 그대로 나의 존재이며 브랜드입니다. 그런데, 이 브랜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반응은 대체로... 이렇게 됩니다.

"에스 아이 영(0) 사? 오(5) 아이 영 사?"
"뭐라고 읽어야 하나요? 시오포? 시공사?"

실제로 몇달 동안 함께 일했던 인도인 엔지니어들은 끝끝내 내 성을 "시오" 쯤으로 부르기도 했고요. (비슷하긴 하죠.) 아! 물론, 처음부터 딱 하니 sio4의 사전적인 의미까지 읽어내는 사람들도 있죠. 동문들, :-) 유사 전공을 가진 사람들, (하이텔 지질학 동호회에 가입했을 때, 일단 ID 만으로도 다들 반겨주었던 기억**) ...

하/지/만/ 확실한 것은 브랜드로써, 첫인상도 어렵고 부르기도 어렵고 입에 쉽게 붙지도 않고 기억하기도 쉽지 않은 이런 이름은... 확실히, 의미가 어쩌니, 본질이 저쩌니 하면서 높은 점수를 주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하... 브랜드란 이런 것이었군요!


아! 십년도 넘은... 나의, 본질에 충실한 브랜드여!

  • 오시알페카나크마(O,Si,Al,Fe,Ca,Na,K,Ma)이런거 기억나시나?
  • 그 동호회 사람들 ID가 몽땅 그런식이었죠.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epidote, topaz 뭐 이런거...


이방인 이야기 - 창 포커스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Oh~~ I'm an alien. I'm illegal alien. I'm an English man in New-York."

전혀 예상을 못했던 것은 아니지만, 요즘 생각보다 끔찍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 다름 아닌, 윈도우즈 OS에서 일하기. 한 10년 정도(그러고 보니 꽤 됐네...) 함께 해 온 리눅스 데스크탑과 서글픈 별거를 시작한 이 일생 일대의 사건! 헤어져서 슬프고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윈도우즈란 녀석이 불편해서 슬프다. 그러던 중,

아하! 하나는 해결. 바로 창 포커스 모드가 그것. 근래의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은 대체로 "클릭하면 창 선택"이 기본값인 듯 하다. 왜? 정말 그게 편해서인가? 아니면 단순히 MS 윈도우즈 사용자가 적응하기 편하라고? 또는 그와 같아지기 위해서 그런걸까? 모르겠다. 어쨌든 난 "마우스 아래 있는 창이 포커스 갖기"가 좋다.

다중 창에서 작업할 때 "손의 포커스"(입력 포커스)를 갖는 창이 아닌 "눈의 포커스"를 갖는 창이 화면 맨 위에 와 있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가? 지금 내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 노트북은 1024x768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 화면 구성은 오른쪽에는 터미널 왼쪽에는 브라우져이다. 물론 둘은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을 공유하고 겹쳐 있다. 웹을 활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자연스럽게 브라우져와 터미널을 오가게 되는데, 매번 두 창이 교대로 떠 오르는 것보다, 눈은 앞에 나선 브라우져 위에, 손은 뒤에 물러서 있지만 포커스를 받은 터미널 위에 있는 것이 좋다. 에이... 왜케 말이 길어지는거야! 몰라! 이게 편해!

어쨌든 이제 윈도우즈에서도 손의 포커스와 눈의 포커스가 분리되었다!

Mike's Blog: Windows: window focus changing with mouse over
Rather than clicking a window to bring it into focus, you can hack the registry to have a the position of the mouse cursor change the focus of a window. That is, the window your mouse cursor is hovering over will become the one in focus.

Switch Windows by Hovering the Mouse Over a Window in Windows Vista :: the How-To Geek

In the old days, this used to be called the XWindows mode, and was enabled through TweakUI, but now it's built right into Control Panel for everybody to use.


우.생.선 - KLDPConf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와~ 애 첫 경품 물"

우와~ 생애 첫 경품 선물
서울 강남역 근처에서 있었던 KLDPConf 행사에 다녀왔다. 특기할 점은, 근 10년 간 참석했던 이런 저런 행사, 전시회 등을 통털어서 처음으로 "참가상"이 아닌 경품을 받았다는 점이다. 바로 사진 속의 타거스 노트북 백팩.

행사를 준비하신 KLDP 권순선님 등의 관계자 여러분과 선물을 준비해주신 Yahoo! Korea, 다른 깜찍한 선물을 미리 받아주신 분들, 그리고 특별히 참가신청을 했으나 불참하신 이십 여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이 아니었다면 경품 당첨은 불가능했습니다. (레드햇 9의 설치 후 감사 메시지를 기억나는 데로 흉내낸 것인데... 쫌! 썰렁하다!)


참가하기

사실, 행사 사실을 조금 늦게 알았다.
KLDP라는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야 초창기부터 가지고 있었지만 "공동체"로써의 KLDP는 내게 조금은 거리가 있는 부분이었고 그다지 활동적이지도 못한 편인지라... 요즘은 RSS 피드를 중심으로 관심가는 글이 있으면 읽는 정도에 그치고 있던 중이다. 게다가 근래에는 피드 읽기도 꾸준히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려서...

어쨌든, 짧게 말하면 유령회원이라서 행사 사실도 늦게 알았다. :-(

지난 첫번째 행사 역시 소식을 늦게 접했었고 여차 저차 하여 참석하고 싶은 마음을 접었었던 터라, 이번에는 일단 들이밀어보자는 무대포 정신으로... 지난 한 주 동안 몇 시간도 채 눈을 맞추지 못한 꿈돌이를 뒤로 하고 집을 나섰다. (미안한 마음에 오늘은 녀석과 서울대공원에 다녀왔지 :-)


행사 스케치

시간에 딱 맞춰 도착한 모임터엔 아직 조금은 한산한 느낌이었는데, 약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는 딱 적당한 수준으로 공간이 채워진 느낌이었다. 나처럼 무작정 나타난 사람 말고도 "소환되었다"고 자신을 소개한 분들도 상당수 있었다.

음, 뭐랄까... 전반적으로 어떤 느낌이었냐면 생각보다 젋었고, 약간은 어수선했고, 또는 가족적인 분위기가 묻어나오는 부분도 있었고, 또는... 아련한 기억속에 잠들어있던 리눅스 공동체의 그런 자유 분방한 분위기라고나 할까? 행사를 시작하던 시점과 마무리 하던 시점의 장면을 참고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발표, 느낌

(관심있었거나 느낌이 있던 것들)

첫번째 순서는 "고등학생과 리눅스"라는 주제로 이제 막 대학 신입생이 된 peremen 님이 자신의 오픈소스 진입기를 "한국의 고등학생"이라는 관점과 섞어서 소개해주셨다. 사실, 뭔가를 기대하지 않았던 발표였는데, 이런... 재미있고 생각해볼 만한 질문이 되어버렸다.

미지리눅스를 통한 자신의 리눅스와의 첫만남, 아련한 기억, KDE와의 좋았던 기억이 발전하여 KDE 커미터가 되었다는... 이야기인데, "음... 결국 첫 만남이 참으로 중요한 열쇠가 되는군." (그 뒤에 이어진 이야기에서는 내겐 너무나 딴 나라 이야기 같이 들리는, 또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안정적인 대학 진학", "100% 합격" 등의 이야기가 섞여 있었고) 그리고 일반계 학교 교육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 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예제들이 MS 제품으로 되어있다는, 다시 말해서 "스프레드 시트"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Excel"을 가르친다는... 내용이 있었든데, 이 부분이 위의 "첫 만남" 경험과 함께 보다 강렬하게 와 닿았다. 공교육을 통하여 규정지어져 버린 "MS 제품과의 첫 만남" 이 바로 우리 나라의 현실인 것이다.

예전부터 교육, 그리고 전산 교육에 대하여 관심만 잔뜩 가지고 있는 나에게 다시금 동기부여를 하는 그런 소중한 시간이었다. (peremen님, 감사.) 뭐, 주제가 다르니 긴 얘기 하긴 그렇지만,
  • 나도 어떤 책에서 본 Motif 창틀과 위젯에 감명받아 유닉스/리눅스에 대한 관심이 커졌었다.
  • 실습을 무엇으로 하는가와는 별개로 교과서는 중립적으로 써져야 한다. 가령, 창틀, 메뉴 부분은 잘라낸, 시트 만을 표시한다던지. 설마 교과서에서 메뉴를 가르치진 않겠지?
  • (오픈소스를 지지해온) 정통부가 사라지지 않았다면 좋았으련만...
  • 교육봉사? 실제로 비슷한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다음 순서는 "포스트그레스퀄에 대한 오래된 진실"이라는 주제였는데, 내겐 워낙 "흐린 기억속의 그대"인 데다가... 근래에는 관심도 별로 없고... 그런데, 몇몇 분들의 열혈 질문을 통하여 모임의 강한 포스가 느껴졌다는...

음... 좀 건너 뛰어서 "웹플랫폼과 오픈소스"라는 주제의 발표가 있었는데, 참으로 인상적인 발표였다. 발표자 inureyes님, 포스가 대단하더군. 인상적인 말이... (정확한 문구는 모르겠으나)
  • 프로그래머가 얼마나 세상을 바꾸는지 모르고...
  • 야후 인수를 위해 MS가 제시한 42조. 대운하를 파고도 남는 돈!
  • 웹이 오픈소스에 준 것은? 만남. 사람.


자유 토론 시간

정해진 세션의 발표가 끝난 후 약 한 시간 정도는, 조금 짧은 감은 있었지만 주제 발표자 등을 중심으로 한 자유로운 주제별 토론 시간이 있었다. 내가 참석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정적 분석에 관한 이야기" 였다. 사실 딱히 토론에 참여할 만큼 관심이 가는 분야가 없었기도 했고, 상대적으로 재미있기도 하고 잠깐 시도해봤던 주제이기도 해서...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도 들어볼 겸, 참석했는데...

이야기는 주제의 범위가 약간 넓어져서 정적 분석 외에도 동적 분석, 디버깅, 또는 완성 단계 이후의 관리까지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품질관리의 전반에 걸친, 그러면서도 심도는 "경험담" 정도에서 시작하여 열악한 개발 여건에 대한 개발자 성토대회로 이어졌다. 발의자의 의도와 어느정도 일치하는 토론이었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내게는 "다른 개발자들의 정적분석에 대한 경험/생각"을 듣지 못한 점은 조금 아쉬웠지만, "다른 개발자들도 대체로 비슷한 환경과 압박과 설움 속에서 시름하고 있다"는... 뭐랄까 동질감을 확인할 수 있었던,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아! 그리고 토론 참여자의 상당수가 임베디드 환경에서 일하고 있거나 일해본 것으로 보이는데, 부족한 표본이긴 하지만 근래의 전산 시장, 또는 리눅스 전산 시장의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라고 하면 좀... 어거지인가?


마치며

부담스러운 사진 한 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가 부담이냐고?
  • 다시 살아나는 노트북 프로젝트.
  • 그리고, KLDP
2000년 진행되었던 제 1 차 노트북 프로젝트는 회사에서 지급된 쌈박한 컴팩 서브노트북으로 인하여 잠정 취소되었었다. 그 이후 대체로 회사 지급 컴퓨터에 의존하는 만족할만한 생활을 하다가, 근래에 집에서 쓰는 PC가 고장나고 업친데 덥친 격으로 새로 옮긴 회사에서 지급한 노트북이 지난번 사용하던 Thinkpad T60에 비하여 매우 맘에 들지 않을 뿐더러 주제에 무겁기까지 하여... 다시금 제 2 차 노트북 프로젝트가 시작되려는 위기에 처해있었던 내게... 이젠 노트북 백팩이라니! 이런 강한 심장 마사지가 있나!

KLDP. 유령(회원)은 보이지 않는 것이 제 맛이다. 그런데 가장 주목받았던 경품에 당첨! 되어 버리다니! 이런... 막상, 이런 것을 받아 들고 보니... 이런게 선물 마케팅의 효과인 것일까? 더 이상 RSS는 집어치우고 KLDP 죽돌이라도 해야 할 것 같은... 뭐랄까. 강한 죄의식이랄까? 이거 혹시 학교다닐 때 문제아가 반장 자리 앉아버린 그런 느낌? 에라 모르겠다. 원래 나란 사람, 죄 많은 사람인 것을... 그래. 그런거야. 몰라. 그래.



KLDPWiki: KLDP Conf/20080308
KLDPConf는 OpenSource를 주제로 자발적인 참여를 권장하는 소규모 세미나입니다. 열린 환경에서 서로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심도 있는 토론과 상호 교류, 데모 등을 위해 발표 시간만큼의 자유 시간을 확보하여 모두가 함께 OpenSource를 즐기고, 배우고,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앞으로 KLDPConf는 기존의 세미나 위주에서 벗어나 참석자들간의 참여와 교류를 권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CodeFest는 좀더 실질적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려 합니다.

3월 8일 KLDPConf 후기/사진 올려주세요~ | KLDP
오늘 KLDPConf 행사의 후기 및 사진 올려주세요~ 후기는 이 글에 대한 답글로 직접 올려 주셔도 되고 개인 블로그나 기타 다른 장소에 올리셨다면 링크를 올려 주셔도 되고요. 사진은 http://gallery.kldp.org/kldpconf0803 에 올려 주시면 됩니다. 누구나 사진을 올릴 수 있습니다.

항상 시간없고 자원없는 우리들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멀리 보면 그렇지만", "그렇게만 된다면 좋겠지만", "그 말은 맞지만", 그런데 왜 항상 그 다음은 "당장은",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없는 것일까? 남들 다 하는 일만 하면서, 당장 급한 문제만 먼저 풀면서, 우리 여건에서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면서 도대체 언제 남들보다 앞서갈 수 있을까? 가치있는 일을 할 수 있을까?

하루살이 였던가?

우리끼리 할 수 없는 일은 다른 이들과 함께 하면 되는 것이고, 단번에 이룰 수 없는 일은 하나씩 차근차근 이루면 되는 것인데...

'삶, IT-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o4, SiO4 tetrahedron, 나의 브랜드.  (1) 2008.03.25
뒷북 - UNIT2  (0) 2008.01.12
'87년, 그 날의 지워지지 않는 기억  (0) 2007.06.07

왜 오픈소스인가? 그게 뭔데?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회사를 옮기고 난 후, 요즘들어 많이 받는 질문, 또는 가끔 내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 바로 "왜 오픈소스인가?"이다.
오래 전, 내가 이 (좁은 비포장의) 길에 처음 뛰어 들었던 그 시절에는... 이런 저런 대답할, 또는 설득할 말이 많았었던 것 같다. 음... 뭐랄까 지금은, "대세니까" 라는, 남 얘기 하듯 성의 없어 보이는 대답이... 가장 먼저, 그리고 더 이상의 설명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

그 한마디로 대답이 되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너무 당연한 질문의 답이 잘 떠오르지 않는... 그런 느낌도...

Jonathan Schwartz's Weblog : Weblog
거역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 있습니다. 독점 기술에 의해 정의된 인터넷이 아닌,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으로 연결된 인터넷이 Sun과 고객에게 보다 가치있다는 믿음이 바로 지금까지 Sun의 의사 결정에 기준이 되어준 철학입니다.

'오픈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생.선 - KLDPConf  (4) 2008.03.10
CELF Korea Tech Jamboree  (0) 2008.02.25
"Sun Microsystems Announces Agreement to Acquire innotek"  (0) 2008.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