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 관한 글 5건

  1. 2011.08.22 CloudFoundry, Getting Started
  2. 2009.02.27 어쩌자고... 넷북에서 Xen을 돌리겠다는 건데?
  3. 2008.12.13 우분투 8.10에서 kvm을 이용한 가상서버 설정
  4. 2008.12.03 Landscape: Canonical의 새로운 서비스, SaaS (SMS as a Service)
  5. 2007.11.12 Ubuntu 7.10 에서 프레임버퍼 콘솔 사용하기 3

CloudFoundry, Getting Started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CloudFoundry 맛보기. 이 정도로 사실, 맛을 볼 수는 없겠으나 일단 시간과 능력의 부족으로 Getting Started Guide를 따라해보는 수준으로 정리, 간만에 신세계 구경도 하고 짧게 나마 포스팅도 한다.

먼저, http://www.cloudfoundry.com 에서 계정 신청을 해야하는데, 몇일 전에 CloudFoundry와 Ubuntu와의 뭔가 끈끈한 관계에 대한 글을 읽고 자극을 받아서 한 번 신청해봤는데, 오늘 메일함을 보니 계정 생성 메일이 와있었다. (초대형식으로 가입된다는 이야기)

1. 준비하기

특이한 점이, 웹 인터페이스가 없는 것 같다. 비슷한 서비스인 heroku(http://www.keroku.com) 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정보 열람 등이 가능한 웹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CloudFoundry는 그게 없다. 아마도 현재는 Beta 상태이므로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점에는 뭔가 포털이 생기지 않을까? 아무튼, command line 모드 클라이언트인 vmc를 설치해야 한다.

vmc는 ruby gem 형태로 배포되는데, 다음과 같이 설치가 가능하다. (물론 리눅스 이야기, 그리고 ruby 설치 등은 생략)

sio4@silver:~$ gem install --user-install --no-rdoc --no-ri vmc
Successfully installed json_pure-1.5.3
Successfully installed rubyzip2-2.0.1
Successfully installed highline-1.6.2
Successfully installed terminal-table-1.4.2
Successfully installed vmc-0.3.12
5 gems installed
sio4@silver:~$


2. 시작하기

이제 CloudFoundry에 로그인을 해야한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CloudFoundry의 독특한 성격. 즉, 배포와 사용이 가능한 "Open PaaS"라는 점 때문에 어디로 로그인할 것인지 "target"을 정하는 과정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sio4@silver:~$ vmc target api.cloudfoundry.com
Succesfully targeted to [http://api.cloudfoundry.com]

sio4@silver:~$ vmc login
Email: xxxxxxxx@xxxxxxxx.com
Password: ****************
Successfully logged into [http://api.cloudfoundry.com]

sio4@silver:~$ vmc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xxxxxxxx@xxxxxxxx.com'
New Password: *********
Verify Password: *********

Successfully changed password

sio4@silver:~$

첫번째 로그인이라서 암호도 바꿔줬다. (가입 완료 메일에 임시 비번이 딸려온다.)


3. 개발하기

이제 간단하게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개발(?)해볼 차례.

sio4@silver:~$ mkdir app_name
sio4@silver:~$ cd app_name/
sio4@silver:~/app_name$ cat > app_name.rb << EOF
> require 'sinatra'
> get '/' do
>   "Placeholder"
> end
> EOF
sio4@silver:~/app_name$ vmc push
Would you like to deploy from the current directory? [Yn]:
Application Name: app_name
Application Deployed URL: 'app_name.cloudfoundry.com'?
Detected a Sinatra Application, is this correct? [Yn]:
Memory Reservation [Default:128M] (64M, 128M, 256M, 512M, 1G or 2G)
Creating Application: OK
Would you like to bind any services to 'app_name'? [yN]:
Uploading Application:
  Checking for available resources: OK
  Packing application: OK
  Uploading (0K): OK
Push Status: OK
Staging Application: OK
Starting Application: OK

sio4@silver:~/app_name$

크핫! 이제 http://app_name.cloudfoundry.com 에 접속해보면, 짜잔~ 한 줄 뜬다. :-( 어쨌든 정상 작동!


이야~~~ 멋지지 않아? "준비하시고~", "시~", "작!" 하면 딱 뜨는데... 왜 클라우드를 안써? 아니, 왜 가상화만 생각해? 이게 궁극의 클라우드 아닌감? 게다가 CloudFoundry의 멋진 "Open PaaS" 정책은 (자세히 살펴보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유출의 걱정도 없이 Private PaaS의 구축을 쉽게 해줄 것 같은 느낌. 이거 좀 파봐야겠는데...

아하... 이럴 땐 여건에게 핑계를!!


참고로, 정보 보기

sio4@silver:~$ vmc info

VMware's Cloud Application Platform
For support visit http://support.cloudfoundry.com

Target:   http://api.cloudfoundry.com (v0.999)
Client:   v0.3.12

User:     xxxxxxxx@xxxxxxxx.com
Usage:    Memory   (128.0M of 2.0G total)
          Services (0 of 16 total)
          Apps     (1 of 20 total)

sio4@silver:~$

앱 스무개라... 음... 좋네~ ㅋ

어쩌자고... 넷북에서 Xen을 돌리겠다는 건데?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좀 우끼는 일이지만, 삼성전자의 넷북인 NC10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Xen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려는 과정의 이야기이다. 실은, 어제 저녁에 이 과정에 얽힌 긴 글을 쓰고 초안으로 올려뒀는데, 오늘 보니 사라져버렸네... ScribeFire로 글을 작성했는데, 이렇게 작성한 몇몇 글 중에서 사라져버린 것은 이 번이 처음이다. 누구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오늘 아침 tistory 접속 자체가 잘 안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Firefox의 문제일지도... 어쨌든 한 번 쓴 글을 다시 쓰려니 글 쓸 생각은 잘  안나고 짜증은 잘 난다. (에라 그만둘까 싶지만서도...)

넷북, NC10과 Xen

본론으로 들어가서, 그렇다. 넷북에 Xen을 올리겠다는 것은 조금 우끼는 일이다. 본격적인 "경험담"에 들어가기 전에 잠깐 Xen와 NC10의 궁합에 대해서 생각해봤다.

NC10은 삼성전자의 첫번째 넷북인데, Intel의 Atom N270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 CPU 사양을 잠깐 살펴보면,

flags           : fpu de tsc msr pae mce cx8 apic mtrr mca cmov pat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constant_tsc
arch_perfmon pebs bts pni monitor ds_cpl est tm2 ssse3 xtpr lahf_lm

lm 도 없고, vmx 도 없다. 바꿔 말하면 x86-64 버전을 설치할 수도 없고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을 사용할 수도 없다는 뜻이다. 내 수중에 있는 기본 모델은 1GB의 RAM을 기본 장착한 상태인데 메모리 슬롯이 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메모리 증설도 간단하지가 않다. 그런데 어째서 여기에 무슨 가상머신을 올리겠다고? (참고로 삼성전자의 다음 모델인 NC20은 VIA의 NANO칩을 쓴다고 한다. lm, vmx 다 된다던데? 솔깃~)

대답은 간단. 가벼우니까. 점점 무거운 Xnote를 어깨에 메고 다니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던 차에, 이런 녀석이 옆에서 놀고 있는 꼴을 보니 써주지 않을 수가 있어야지. (그러고보니 고작 램 128MB, 256MB에서 가상머신 돌리면서 옆 팀의 512MB, 640MB 쓰는 동료들 부러워했던 때가 엇그제 같은데... 1.6GHz에 1GB 램이면 떡을 치는 사양 아니야?)

참고 : NC10의 주변 기기 사양

우분투/Xen 설치하기

어쨌든 NC10에 우분투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일단, 간단하게 기존에 설치하여 잘 돌아가고 있던 8.10 버전을 한 쪽 파티션에 복사, 다중 부팅을 하도록 했다. 그런데 이게 왠일, 시작부터 난관~! 8.10 버전의 우분투는 Xen의 Dom0를 지원하지 않는단다. 앞으로 계속 하지 않는다는 얘기도 있고(kvm을 밀고 있는 형국이므로 그럴만도 하다.) LTS에서만 될 거라는 얘기도 있고... 어쨌든 이번 작업의 목적은 "가상화"가 아니라 "Xen"이므로 간단한 결정을 했다. LTS이고 Xen 지원이 되는 8.04 버전으로 내리는 것. 결국, ubuntu 8.04 server i386 버전을 한 쪽 파티션에 깔았다.

8.10 버전의 Ubuntu를 NC10에 설치하는 것은 숨쉬는 것 만큼 간단했다. (물론, 약간의 수작업이 있어야 Wireless 등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본론은 아니므로 생략) 그런데 8.04는 다르더군. 설치를 한 참 진행하다가 죽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결국 acpi=off 라는 부팅 옵션을 추가로 줌으로써 문제는 비껴 갈 수 있었다. (확인해보지는 않았지만 초기에 구워둔 CD를 사용하지 않고 8.04 버전의 최신 이미지인 8.04.2로 시도했다면 쉽게 갔을지도 모르겠다. 설치를 마친 후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커널도 최신으로 올리고 나니 acpi 관련 문제는 사라졌다.)

다음 순서로, ubuntu-xen-server 라는 이름의 메타 패키지를 통하여 xen 관련 패키지 설치를 마쳤다. 초반에 액땜을 해서 그런지 이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이 되었다. Xen커널 부팅을 확인한 후, 용도가 용도인지라 server 버전으로 설치했음에도 GUI가 필요했기 때문에 xorg 패키지와 간단한 wm인 openbox 패키지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이게 왠 일인가! Xen으로 부팅한 상태에서는 intel 온보드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Xorg가 동작하지 않았다. 아니, 화면에 검게 변하면서 멈춰버렸다. (Xorg의 intel 드라이버 문제인지 kernel의 intel-agp 문제인지는 모르나, 아마도 정황으로 봐서 intel-agp와 Xen 사이에서 메모리 분쟁이 있는 것 같다.) "그래, vesa 쓰면 되지 뭐..."

Xorg, Xen, 그리고 945GME

쉽게 쉽게 안되면 피해가는 방식으로 여기까지 왔지만! 그런데 이게 뭔가?! vesa 모드로 Xorg를 띄우면 고작 800x600의 해상도로 뜨는 것이 아닌가! 안되는 것은 참아도 미운 것은 참을 수 없다! 그렇게 본격적인 삽질은 시작되었다.

시도해본 것들 :

  • intel 드라이버를 agp 없이 써보려는 시도 : 잘 안됨.
  • vesa 드라이버를 쓰면서 1024x600을 얻기 위해 xorg.conf 로 어떻게 해보려는 시도 : 잘 안됨
  • fbdev 드라이버를 쓸 각오를 하고 fbcon 띄워보려는 시도 : 헉! 왜 이런 시도를 한거야!

그렇다. 그런 시도를 한 것이 잘못이었다... 공식의 23-server 커널을 쓰면서 vga=0x314 옵션을 주면 800x600일 지언정 fbcon이 정상적으로 올라왔다. 그런데 23-xen을 올릴 때는 vga=... 도, video=... 도 먹질 않았다. xen이 원래 그런거니? 그럼 안되는데... 결국 커널 소스 패키지를 내려받아서 생애 최초의 deb 커스텀 빌드에 돌입! 몇 시간에 걸친 커널 컴파일을 시도했다.(이게 몇 년 만의 커널 컴파일인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오라... 그랬더니, fbcon, vesafb를 built-in으로 했더니, xen으로 시작해도 fbcon이 잘 올라왔다. "이거야!". 여기서 멈춰도 되는데... 이놈의 결벽증은, 공식 커널에서도 왠지 설정을 잘 해주면 될 것 같은 생각이 자꾸 드는 것이다. 다시 커널을 공식 버전으로 복구하고 다양한 시도를 진행했다. 삽질의 끝은 어디인가? 포기! 아마도 뭔가 내가 모르는 것이 있는게다. 시간만 얼마가 지났는지...

그러던 길에 발견한 페이지(메일)가 바로 아래의 페이지 :

[Debian-eeepc-devel] 1024x600 console [was: Re: Video out toggling]

I have made some progress with this. The intelfb framebuffer driver doesn't support mode changing except for the VGA output. However, the uvesafb framebuffer driver does as long as the mode you want is known to the BIOS. But the Eee BIOS doesn't know about the panel's native resolution. This can be fixed using a utility called 915resolution, which hacks the RAM copy of the BIOS. But 915resolution doesn't know about the 945GME chip in the '901.

멍청한 비디오 바이오스의 모드 리포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쳐주는 프로그램인데, NC10의 그래픽칩인 945GME 지원에 대한 패치가 있었던 것. (휘발성 수정이라서 Xorg를 위한 답은 되는데 FB를 위한 답은 되지 않는다. FB를 위한 grub 패치도 있는 것 같은데 시도하지는 않았다.) 그래... 쉽게 가는게 목표잖아. 커스텀 커널보다는 커스텀 유틸이 낫지. 결국, 생애 최초로 dpatch 를 써가며 커스텀 버전의 915resolution패키지를 빌드, 설치, 설정했다.

휴, 이제야 깔끔한 모습의 GUI를, Xen 환경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

이게 얼마만의 삽질인가! 후훗~ 간만에 재밌기도 하고 :-)

(그런데 오랜만에 DE 가 아닌 WM-only로 쓰려니까... 좀 당황스러운데?


우분투 8.10에서 kvm을 이용한 가상서버 설정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개요

가물가물한 기억인데, kvm과의 첫 만남은 아마도 2007년 늦은 봄 정도였던 것 같다. 그 무렵이 드디어! kvm이 메인스트림 커널에 포함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 배포본이 등장하기 시작했던 무렵이기 때문이다. (요즘 가끔씩 깜짝 놀라기도 하는데, 되돌아보니 근 몇 년간 배포본에서 지원하지 않는 최신의 뭔가를 스스로 노력해서 써본 기억이 없다! 이럴수가!)

이런 저런 정황으로 봤을 때, 앞으로 리눅스 기반 가상화의 중심에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했던 kvm의 첫 느낌은, (애써 감추려고 노력했지만) 사실 실망이었다. 너무 느리고 까다롭고... 하지만, 신생아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냥 "와~ 추카추카~ 이쁘네~~~ 잘키워~" 하고 호응해줄 수 밖에!

그로부터 채 1 년도 지나기 전에, kvm을 프로젝트에서 개발 플랫폼으로써 활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 기쁘지 않을 수 없다. :-) 그래서, 이번에는 내부 업무 시스템에 kvm을 적용해보기로 맘먹었다. (말이 길었는데,) 이 글은 그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설치 및 설정 - 기본 설정

한 두 번도 아닌데, kvm은 설치할 때 마다 새로운 느낌이 있다. 아직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중이어서일까? 어쨌든, 이번 설치의 플랫폼은 우분투 8.10이다. 먼저,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kvm 관련 패키지를 설치했다.

$ sudo apt-get install ubuntu-virt-server

8.10 버전부터 새로 추가된 ubuntu-virt-server 패키지는 kvm, libvirt-bin, openssh-server 등의 세 패키지를 잡고 있는 가상화 서버 구성을 위한 메타패키지이다. 이와 함께 추가된 ubuntu-virt-mgmt 패키지는 virt-manager, python-vm-builder, virt-viewer 등의 관리용 패키지를 잡고 있는 메타 패키지인데, 이 번 작업 내용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랩탑에서 사용중인 7.10 버전에서는 지원되지 않아서 일단 관련된 작업 및 시험은 보류했다.)

네트워킹 등의 일부 기능은 적절한 권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명령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libvirtd 그룹에 추가시켜준다. (물론, 다시 로그인을 해야 변경된 그룹 권한이 적용된다.)

$ sudo adduser `id -un` libvirtd

위의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virsh -c qemu:///system list
Connecting to uri: qemu:///system
Id Name                 State
----------------------------------
$

가상머신 설치하기 - 가상 콘솔

이런! 가상머신을 설치하려고 보니 어쩔 수 없이 최소한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설치할 수 밖에 없겠네... 애초의 계획은 클라이언트는 완전히 독립된 기계에서 운용하고 서버는 말 그대로 "가상화 기반"으로써만 활용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랩탑 환경을 지금 바꾸기는 좀 무리가 있고 일단은 서버에 최소한의 관리 환경을 설치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가상 콘솔 프로그램인 virt-viewer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virt-viewer
[...]
다음 새 꾸러미를 설치할 것입니다:
  defoma fontconfig fontconfig-config hicolor-icon-theme libatk1.0-0
  libatk1.0-data libcairo2 libcups2 libdatrie0 libdrm2 libfontconfig1
  libfontenc1 libfreetype6 libgl1-mesa-glx libglu1-mesa libgtk-vnc-1.0-0
  libgtk2.0-0 libgtk2.0-bin libgtk2.0-common libgtkglext1 libice6 libjpeg62
  libpango1.0-0 libpango1.0-common libpixman-1-0 libpng12-0 libsm6
  libthai-data libthai0 libtiff4 libxcb-render-util0 libxcb-render0
  libxcomposite1 libxcursor1 libxdamage1 libxfixes3 libxfont1 libxft2 libxi6
  libxinerama1 libxmu6 libxrandr2 libxrender1 libxt6 libxxf86vm1 ttf-dejavu
  ttf-dejavu-core ttf-dejavu-extra virt-viewer x-ttcidfont-conf
  xfonts-encodings xfonts-utils
[...]

virt-viewer는 말 그대로 가상머신 뷰어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상머신의 가상 콘솔에 접속할 수 있고, OS 설치 등의 현장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것으로 준비는 거의 끝난 것 같다.

가상머신 설치하기 - 가상머신 생성

virt-install 이나 우분투 고유의 python-vm-builder (예전의 ubuntu-vm-builder) 등의, 설치 전용 유틸리티를 활용하여 생성과 동시에 설치를 진행하는 방식도 있고, 또는 virt-manager에서 적절한 생성을 마친 후, 가상머신을 기동시키고 설치를 진행할 수도 있다. 예전에는 virt-manager 방식이나 virt-install 방식을 시도해봤었는데, virt-manager 방식의 경우, 설치 속도 문제로 고생을 좀 했던 기억이 있다. virt-install의 경우, 설치 후 재부팅이 필요한 환경 등에서 좀 모자라다는 느낌을 받았었던 것 같은데 역시 기억이 살짝 희미해져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virt-install의 경우, 여러 디스크를 붙이고 싶은 경우 등의 상세한 작업을 할 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다른 방식을 도입해 보았다.

이름하여 가상머신 생성기. genxml.sh라는 스크립트를 급조했다. 처음에는 조금 보편적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려다가, 시간도 없고. 또한 그렇게 까지 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해서 내 스타일의 가상머신을 만들어내는 정도로 목표 수준을 낮췄다. 다음은 스크립트의 내용이다.

#!/bin/sh

VM_ROOT=/box/vms

vm_name=mercury
vm_mem=1024
vm_cpu=2
vm_mac=`echo "52:54:00$(hexdump -e '/1 ":%02x"' -n 3 /dev/urandom)"`

echo -n "name of vm: "; read vm_name
vm_home=$VM_ROOT/$vm_name
mkdir -p $vm_home

echo -n "size of ram: "; read vm_mem
echo -n "number of cpus: "; read vm_cpu
echo -n "path of cdrom: "; read vm_cdrom
echo -n "disk size of sys: "; read size
qemu-img create $vm_home/$vm_name-sys.qcow2 -f qcow2 ${size}G
echo -n "disk size of tmp: "; read size
qemu-img create $vm_home/$vm_name-tmp.qcow2 -f qcow2 ${size}G
echo -n "disk size of opt: "; read size
qemu-img create $vm_home/$vm_name-opt.qcow2 -f qcow2 ${size}G

cat < $vm_name.xml >>EOF
<domain type="kvm">
  <name>$vm_name</name>
  <uuid>`uuidgen`</uuid>
  <memory>$(( $vm_mem * 1024 ))</memory>
  <currentmemory>$(( $vm_mem * 1024 ))</currentmemory>
  <vcpu>$vm_cpu</vcpu>
  <os>
    <type>hvm</type>
    <boot dev="hd"/>
  </os>
  </boot>
  <features>
    <acpi/>
  </features>
  <clock offset="utc" />
  <on_poweroff>destroy</on_poweroff>
  <on_reboot>restart</on_reboot>
  <on_crash>destroy</on_crash>
  <devices>
    <emulator>/usr/bin/kvm</emulator>
    <disk type="file" device="disk">
      <source file="/$vm_home/$vm_name-sys.qcow2"/>
      <target dev="hda" bus="ide"/>
    </disk>
    <disk type="file" device="disk">
      <source file="/$vm_home/$vm_name-tmp.qcow2"/>
      <target dev="hdb" bus="ide"/>
    </disk>
    <disk type="file" device="disk">
      <source file="/$vm_home/$vm_name-opt.qcow2"/>
      <target dev="hdd" bus="ide"/>
    </disk>
    <disk type="file" device="cdrom">
      <source file="/$vm_cdrom"/>
      <target dev="hdc" bus="ide"/>
    </disk>
    <interface type="network">
      <mac address="$vm_mac"/>
      <source network="default"/>
    </interface>
    <input bus="ps2" type="mouse"/>
    <graphics type="vnc" port="-1" listen="127.0.0.1"/>
  </devices>
</domain>
EOF

이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디스크 세 개를 달고 있는 가상머신 설정을 단숨에 만들어낼 수 있고 해당 디스크 이미지 역시 스크립트 내부에서 만들어낸다. 가상머신이 생성되는 위치는 스크립트 내부에 지정되어 있으며, 가상머신 이름을 이용한 디렉토리 안에 관련된 디스크 파일을 모아두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다만, 가상머신의 설정이 담긴 xml은 스크립트를 실행한 현재디렉토리에 떨어지게 되며, 다음 명령을 이용하여 이 xml 파일을 읽어들여 가상머신 설정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 ./genxml.sh
name of vm: u810si
size of ram: 512
number of cpus: 2
path of cdrom: /box/isos/ubuntu-8.10-server-i386.iso
disk size of sys: 6
Formatting '/box/vms/u810si/u810si-sys.qcow2', fmt=qcow2, size=6291456 kB
disk size of tmp: 1
Formatting '/box/vms/u810si/u810si-tmp.qcow2', fmt=qcow2, size=1048576 kB
disk size of opt: 2
Formatting '/box/vms/u810si/u810si-opt.qcow2', fmt=qcow2, size=2097152 kB
$ virsh -c qemu:///system define u810si.xml

이렇게, 우분투 8.10 서버용 i386 버전을 위한 가상머신 설정과 디스크 준비를 끝냈고, 마지막으로 virsh 쉘의 define 명령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설정을 적용하였다. 이제 생성된 가상머신을 실행해보자.

$ virsh -c qemu:///system start u810si
Connecting to uri: qemu:///system

$ virt-viewer -c qemu:///system u810si

어라? 부팅에 실패했다! 왜냐하면, 기본 부팅 설정이 'hd' 즉, 하드디스크로 되어있기 때문. xml 파일을 열어서 다음의 내용을 수정해주고 다시 define 명령을 내려줘야 cdrom으로의 부팅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hd를 기본값으로 했을까? cdrom으로 바꿀까?)

9c9
<    <boot dev="hd">
---
>    <boot dev="cdrom">

어쨌든, cdrom으로 부팅을 하도록 설정하고, define 명령을 내려주고, 다시 start 명령을 내린 후 접속을 해보면 설치 화면이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의 과정은 일반적인 설치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재부팅. 어라? 그러면 다시 CD로 부팅할 줄 알았은데 그렇지가 않다. 그냥 부팅 오류가 발생했네?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차피 다시 부팅 설정을 바꿨어야 했으므로, 다음의 방식으로 설정을 바꿔주고 다시 시작해보자.

$ virsh -c qemu:///system destroy u810si
$ vi u810si.xml  (boot 부분 편집)
$ virsh -c qemu:///system define u810si.xml
$ virsh -c qemu:///system start u810si

휴, 이제 설치가 모두 끝났다.

아참, 이렇게 재부팅 하기 직전의 상태를 백업해 두는 것도 좋겠네.

가상머신 복제

이렇게 생성, 설정 및 설치를 마친 후, 늘 그렇듯이 설치 원본의 백업 및 복제 방안 마련에 들어간다. 백업은 간단한게, xml 파일과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tar 명령으로 묶어서 저장해두면 그 뿐. 그럼 복제는? 다음의 방식을 도입해봤다.

먼저, 간단한 스크립트를 하나 짰다. 이름은 copyvm.sh.

#!/bin/sh

src_vm=$1
dst_vm=$2

[ "$src_vm" = "" -o "$dst_vm" = "" ] && {
        echo "usage: copyvm.sh src dst"
        exit 1
}

[ ! -d "$src_vm" ] && { echo "source vm is not exist. abort!"; exit 1; }
[ -e "$dst_vm" ] && { echo "destination vm is already exist. abort!"; exit 1; }

vm_mac=`echo "52:54:00$(hexdump -e '/1 ":%02x"' -n 3 /dev/urandom)"`
vm_uuid=`uuidgen`

cp -a $src_vm $dst_vm
cd $dst_vm
rename "s/$src_vm/$dst_vm/" *
sed -i "s/$src_vm/$dst_vm/g" $dst_vm.xml
sed -i "s,<uuid>.*</uuid>,<uuid>$vm_uuid</uuid>," $dst_vm.xml
sed -i "s,<mac address=".*/">,<mac address="$vm_mac">," $dst_vm.xml

ls
cat $dst_vm.xml

내용은 간단하다. 인수 두 개를 받아서 첫 번째 인수로 받은 기존 VM을 두 번째 인수로 받은 이름의 새 VM으로 복사하고 설정 차원에서 중복되어서는 안되는 값만 바꿔주는 것이다.(MAC 주소와 UUID) 물론, OS 내부의 설정은 아직 변경하지 못한다. 불가능할 것 같지는 않은데... 현재로써는 복제 원본과 복제된 가상머신의 hostname, sshkey 등의 값이 같다는 한계가 있지만, 어쨌든 쓸만은 하다. 또한 복제 원본을 위한 템플릿 작업을 조금 한다면 더 좋겠지.

$ copyvm.sh u810si rails

이제 우분투 8.10 서버 i386 버전 기반의 rails 환경 복제 완료. 프로비저닝 시간? 한 10초?

새로운 가상머신을 시작시킨 후, 다음의 명령으로 필요한 추가 패키지를 설치해줬다.

$ sudo apt-get install vim
$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 sudo apt-get install rails
$ sudo apt-get install rubygems

마치기

푸하하... 여기까지, 우분투 8.10 최신버전을 기반으로 한 가상 인프라 구축의 초기 단계와 가상머신 생성 및 복제 과정을 정리해봤다.

Landscape: Canonical의 새로운 서비스, SaaS (SMS as a Service)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휴~ 이러니 내가 캐노니칼/우분투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단 말이지.

벌써 12월인데 오늘에야 처음으로 Ubuntu의 새 버전인 8.10 Intrepid의 서버 버전을 설치해보았다. 뭐, 그냥 새 배포본일 뿐이지 별다른 생각은 없었다. 설치하는 과정에서 보니까... 소프트웨어/보안패치 자동업데이트 부분이 눈에 띄기는 했었지. 그런데, 잠깐 logout 했다가 다시 접속했을 때, 뭔가 익숙하지 않은 뭔가가 있는 것이 아닌가?

sio4@jangseung:/box/vms$ ssh 192.168.122.182
sio4@192.168.122.182's password:
Linux ubuntu 2.6.27-7-server #1 SMP Fri Oct 24 07:37:55 UTC 2008 i686

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
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program are described in the
individual files in /usr/share/doc/*/copyright.

Ubuntu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 to the extent permitted by
applicable law.

To access official Ubuntu documentation, please visit:
http://help.ubuntu.com/

  System information as of Wed Dec  3 00:40:01 KST 2008

  System load: 0.0              Memory usage: 5%   Processes:       51
  Usage of /:  8.7% of 7.87GB   Swap usage:   0%   Users logged in: 1

  Graph this data and manage this system at https://landscape.canonical.com/
Last login: Wed Dec  3 00:34:39 2008 from 192.168.122.1
sio4@ubuntu:~$

오~~ 시스템 정보 요약서비스! 좋지. 관리하던 서버가 있던 시절에는 이런 사소한 것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던 터라... 첫번째 느낌은 "향수"랄까? 그런데 자세히 보니... "저 쪽에 가서 이 자료를 그려보고 이 시스템을 관리해보시라"고? 아뿔싸! 아까 건성으로 보아 넘겼던 자동업데이트 부분에서 잠깐 스쳐봤던 그 단어! Landscape! 캐노니칼의 새로운 시스템 관리/모니터링 서비스이다!

대단하다.

배포본 전쟁의 황혼기에 해성처럼 나타나 새로운 시장 구도를 만들어 놓은 이들. 데스크탑에서 서버, 다시 MID와 넷북, 이제는 ARM 기반 시스템으로 전개되는 모습만으로도 그 들과 아무런 상관도 없는 내가 다 찌릿찌릿 하더니, 이제는 SaaS 형태의 SMS 서비스를 내놓은 것! 이건 뭐~

분하다.


몇 개월 전에 팀에 제안했던 바로 그 서비스. 제품으로써의 SMS를 만든 것이 아니므로 팔 수는 없지만 (아니, 이제 와서 그저 그런 SMS 제품 하나 만들어 봐야 팔 수도 없겠지만 :-), SaaS 개념을 도입한 SMS라면 충분히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마케팅 측면에서 서비스를 차별화 할 수 있고 개발팀의 입장에서도 각각의 사이트에 청진기를 심어놓는 격이니... 놓치기 쉬운 고객의 헛기침 소리까지 잡아낼 수 있을 것이고... 나름대로 훌륭한 발상이라고 혼자서만 주장하다가 묻혀버린 바로 그 서비스를 다른 회사의 사이트에서 보는 심정이... 찌릿찌릿? 이런...분하다!

캐노니칼! 니들 딱 내 삘이다~!

Welcome! - Landscape
Landscape makes the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Ubuntu systems simple and effective by combining world-class support with easy to use online management tools.
Landscape | Canonical
Landscape - Changing the way you manage your systems

Download the datasheet Landscape is an easy-to-use systems management and monitoring service that allows you to manage multiple Ubuntu machines as easily as one through a simple Web-based interface. The Landscape service provides powerful, automated systems administration capabilities such as management, monitoring and provisioning of packages across multiple machines lowering your per-systems cost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Because Landscape is Web-based, it is easy to set up and use and requires no special hardware or specialised skills. View the landscape datasheet for even more details.

'오픈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DPConf 8.12 후기  (1) 2008.12.07
우.생.선 - KLDPConf  (4) 2008.03.10
왜 오픈소스인가? 그게 뭔데?  (0) 2008.03.01

Ubuntu 7.10 에서 프레임버퍼 콘솔 사용하기

Clip to Evernote

블로그가 이사를 갔어요!

죄송합니다! 대부분의 글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일부는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10초 이내에 새로 옮겨진 페이지로 이동할 겁니다.
원하시는 글이 아니면 전체 목록을 확인해주세요!
소용환의 생각저장소 / 아카이브

요즘은 "우분투(Ubuntu)"라는 이름의 배포본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럭저럭 맘에 든다. (라이브 CD로부터 ) 설치할 때 아무것도 묻지 않고 그냥 판박이를 만든다는 것이 일단 첫번째 불만이었고 그 외에는 그리 흠잡을 곳이 없는 것 같다. (물론 사용하기 편한 것은 이 배포본의 특성에 의한 부분도 있겠지만 한편 그만큼 리눅스 운영체계가 일반 데스크탑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발전한 까닭이 클 것이다.)

프레임버퍼 기반의 시험 공간으로 버추얼박스(VirtualBox)에 게스트로 최신의 7.10 버전을 설치해 보았다. 건드리기 귀찮은 내 시스템을 유지한 채 새 버전을 맛보는 목적도 있지만 본래의 목적은 역시 프레임버퍼용 시험환경 구성이다. 그런데, 부팅 명령행에 "vga=0x315" 항목을 추가하는 것 만으로는 이 녀석이 꿈쩍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혹시 버추얼박스의 제한? 확인된 내용은 우분투의 뭐랄까... 안전설계에 의한 것인 듯 하다. 다음의 단계에 의하여 설정을 마칠 수 있었다.

1) 부팅 옵션 변경 (일반적인 이야기)

한가지 특기할 부분은, 예전에는 각 메뉴 라인을 편집했었는데 이것이 grub 새 버전의 추가된 기능인지 아니면 우분투의 변종인지는 모르겠으나 모든 메뉴 항목을 위한 기본값(defoptions)의 "한 줄" 지정이 가능하고 그것을 명령을 통하여 각각의 메뉴 항목에 적용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defoptions"라는 이름을 찾아 "vga=0x315"라는 값을 추가해줬다. (해상도 800x600의 24bit 모드)

$ sudo vi /boot/grub/menu.list
        add 'vga=0x315' to 'defoptions'
$ sudo update-grub

2) 모듈 설정과 제한 풀어주기

시스템이 initramfs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건 언제부터 적용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지난 버전에도 적용되어 있었다. 이 것 이상의 가짜 파일시스템을 이용한 장난들이 재밌게 보이는데, 다음에 시간이 되면...) 다음과 같이 설정파일을 수정하여 필요한 모듈을 넣어줘야 한다. (그런데 이것들이 모듈로 되어있는지는 몰랐었네...)

$ sudo vi /etc/initramfs-tools/module
        add 'fbcon' and 'vesafb'

그러나 이 중 vesafb는 요주의 모듈 목록에 기본으로 들어있었다. 다음처럼, 설정파일을 편집하여 모듈 등록을 거부하지 않도록 해줘야 한다.

$ sudo vi /etc/modprobe.d/blacklist-framebuffer
        disable 'blacklist vesafb'

이제 initrd 이미지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 sudo update-initramfs -u

3) 다시 시작

$ sudo reboot

그런데 왠 일인지 이것으로는 모자람...

4) 부팅 스플래시 설정 바꾸기

이렇게 해놓으니 화면은 800x600으로 잡혀 올라오는데 부팅 스플래시와 진행막대가 엉뚱한 위치에 표시된다. 이전의 설정이 1024x768을 기준으로 되어있어서인데... 바로잡자.

$ sudo vi /etc/usplash.conf
        modify 'xres' and 'yres'

물론 램디스크를 다시 만들어줘야 하고, 다시 시작하면 부팅 화면도 깔끔하게 표시된다.

좀 복잡하다. 왜 복잡해졌나? 편의를 돕기 위한 이런 저런 유틸리티, 설정, 뭔가가 더해지다보니 건드려야 하는 부분도 많아지고 복잡해졌다. 일반 사용자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뭔가를 만들려면 그 만큼 속으로 복잡해질 수 밖에 없는... 공짜는 없다고나 할까?

리눅스 어렵다는 말이 여기서 나왔나보다.